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자바언어의본질
- 클래스파일
- 어린날의추억
- 클래스로딩
- 제주몬순커피주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색상설정
- 11057
- 전통주
- 스킨설정
- 개발용어
- 제주술
- 커피냑
- iterm
- 술담화
- iTerm2
- 감사주
- 백준
- 테마설정
- iTerm테마
- 포도알
- 술쟁이
- iTerm스킨
- 자바
- DB기초
- 응답상태
- 스프링부트
- 데이터베이스
- 아규먼트
- 술샘
- Today
- Total
배니스트의 개발추적기
[Web] HTTP Status Code 정리 본문
🎯 글머리
HTTP Status Code는 HTTP 상태코드 혹은 응답코드로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통신 상태를 코드로 약속해놓은 것이다. 자주 쓰이는 코드 위주로 요약해보았다.
🎯 글몸통
성공 응답
- 200 OK 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서버가 적절히 응답한 경우다. 초록색 불이 뜬다.
- 201 Created :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, 그 결과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. 이 응답은 일반적으로 POST 혹은 일부 PUT 요청 이후에 따라온다.
- 204 No Content : 요청에 대해 바디에 보내줄 수 있는 컨텐츠가 없다. 다만 헤더는 유의미할 수 있다.
리다이렉션 메시지
- 302 Found :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일시적으로 변경되었음을 의미한다. 새롭게 변경된 URI는 나중에 만들어진 것이다.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향후의 요청도 반드시 동일한 URI로 해야한다.
- 304 Not Modified : 캐시를 목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이 수정되지 않음을 알려준다.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계속해서 응답의 캐시된 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.
클라이언트 에러 응답
- 400 Bad Request : 잘못된 문법으로 인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.
- 401 Unauthorized : 비인증(unauthenticated)을 의미한다. 클라이언트는 요청에 대해 응답을 받기 위해 반드시 인증해야 한다.
- 403 Forbidden : 클라이언트는 콘텐츠에 접근할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. 401과 달리 이 경우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알고 있다. 하지만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아 거절하기 위한 응답을 보낸다.
- 404 Not Found 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서버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을 때 나타난다. 사이트 내에서 페이지가 삭제되거나 잘못된 url로 인해 꽤나 자주 마주하는 코드이다. 서버는 인증받지 않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리소스를 드러내보이지 않기 위해 403 대신 이 코드를 전송할 수도 있다.
서버 에러 응답
- 500 Internal Server Error : 서버에서 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 코드가 나타난다. 서버 개발자는 이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예외처리를 해야 한다.
- 503 Service Unavailable :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다. 일반적으로 유지보수를 위해 작동이 중단되거나 과부하가 걸렸을 때 나타난다. 이 응답을 전송할 때에는 사용자 친화적인 페이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자.
기타 발생하는 코드들은 그때그때 찾아보는 것으로 하자.
해당 포스트는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였다.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Status
함께보면 좋은 글
'CS 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] 웹 프로그래밍 기본 용어 정리 (0) | 2020.09.02 |
---|---|
[Terminology] Parmeter와 Argument는 무엇이 다를까? (0) | 2020.08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