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전통주
- 스프링부트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어린날의추억
- 개발용어
- DB기초
- iterm
- iTerm스킨
- 술샘
- 아규먼트
- 클래스로딩
- 제주몬순커피주
- 제주술
- 클래스파일
- 스킨설정
- 자바언어의본질
- 자바
- 술쟁이
- 포도알
- 응답상태
- 감사주
- 데이터베이스
- 커피냑
- 테마설정
- 백준
- 색상설정
- iTerm테마
- 11057
- iTerm2
- 술담화
- Today
- Total
목록데이터베이스 (2)
배니스트의 개발추적기
스프링 강의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 H2를 사용했는데, 사용자가 많은 MySQL을 연동하려고 한다. 그 과정에서 고생한 결과를 기록하고자 한다. 기본적으로 Spring과 MySQL은 설치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기술하도록 하겠다. +MySQL에서 DB(scheme) 설정까지 해두어야 한다. [개발 환경] OS: Mac OS Catalina 10.15.6 IDE: intellij Community Language: Java 11 Framework: Spring Boot 2.3.3 Build: Gradle 6.6 Database: MySQL 1. dependencies 연결 build.gradle의 dependencies에 다음의 항목을 추가해준다. dependencies { compile 'org.springfr..

1. 트랜잭션 정의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수행하는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이다. 우선 어원으로 따져보면 Transaction은 접두사 trans-와 단어 action이 조합된 파생어다. trans-가 '다른 장소 혹은 상태로의 변화, 이전'(네이버 영어사전), action이 행동, 행위를 뜻하는 단어이다.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작업이라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해된다.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라는 건 무엇일까?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거나 내부 데이터를 수정하는 작업은 SQL문*으로 수행된다. 트랜잭션은 여러 SQL문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작업 덩어리를 이룬 것을 뜻한다. 그래서 하나의 '논리적인' 작업 단위가 된다. (* SELECT, INS..